FE

서버와 클라우드 컴퓨팅, AWS

올바른생활부터 2025. 1. 13. 16:44
728x90
반응형
SMALL

프론트엔드 개발자 공고를 보면 요즘 CI/CD를 요구하는 기업이 종종 보입니다. 이 말은 즉슨 프론트엔드가 개발한 프로덕트가 배포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서버 공부를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책을 읽으면서 서버 개념 정리에 대한 글을 주제로 써보겠습니다.

Q. AWS란 무엇인가요?

  •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하나이다.

Q. 그러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란?

  • 서버 및 네트워크 등을 인터넷으로 빌려주는 서비스로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다. ex. Amazon EC2, Amazon S3

Q. AWS 특징이란?

여러 사업자에게 각각 빌려야 했던 인프라를 일괄로 빌릴 수 있다는 것과 운영체제(OS)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DB 서버) 등에 필요한 소프트웨어까지 통째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Q.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Amazon EC2란?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는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즉, 서버를 임대하는 서비스이다.

서버, OS, 소프트웨어 등을 세트로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사양이 준비되어 있고, 자유롭게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미 세팅된 서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성능은 가변적이며 일시 정지 중에는 언제든 성능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가상 서버 환경으로, 애플리케이션 로직과 데이터베이스 등의 리소스를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Q. Amazon S3란?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Amazon S3)는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웹 서버 및 파일 서버용 파일을 보관하는 장소(스토리지)로 사용할 수 있다.

S3는 강력하고 다양한 기능이 있어 장애 및 에러에 강할 뿐만 아니라 강력한 관리 기능이나 다른 서비스와 연동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파일 크기는 최대 5TB이며, 전체 용량의 제한은 없다.

정적 파일 호스팅 서비스로, 웹 사이트 파일, 이미지, 문서 등의 정적 콘텐츠를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Q. 매니지드 서비스란 무엇인가요?

AWS가 관리하는 서비스의 통칭이다.

가상 서버인 Amazon EC2는 매니지드 서비스가 아니지만 스토리지인 Amazon S3, DB서버인 Amazon RDS 등이 대표적인 매니지드 서비스이다. 매니지드 서비스는 백업 및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관리자가 수동으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관리 부담이 줄어든다. Amazon S3의 경우는 관리자가 설정하지 않아도 스토리지 용량이 자동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상당히 편리하다.

 

Q. 클라우드란 무엇인가요?

클라우드는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통해서 접속이 가능한 환경을 말한다.

ex. 마이크로소프트, Office365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인터넷상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나 동영상 음악 등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로컬 환경에 저장하는 것처럼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Q. 온프레미스(on-premises)란 무엇인가요?

자사가 서버 등을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온프레미스의 반댓말은 오프프레미스(off-premiss)이다. 이는 임대나 공용을 의미한다. 자사가 소유 운영하지 않고 임대하거나 공공장소에 구축된 것을 사용하는 형태이다.

 

Q. 공용 클라우드와 사설 클라우드는 무엇인가요?

공용 클라우드란 AWS처럼 임대하는 클라우드이다.

사설 클라우드란 자사에 구축하는 클라우드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Saas, PaaS, IaaS 3가지로 구분된다.

Q. SaaS란 무엇인가요?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인프라나 플랫폼(OS)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까지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SNS나 블로그 서비스, 웹 메일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특징:

  • 편리한 반면 자유도가 낮다.
  • 바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량이 적다.
  • 특별한 지식이 필요 없다.
  • 단말기 외에 준비할 것이 없다.

Q. PaaS란 무엇인가요?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플랫폼까지만 제공한다. OS가 설치된 서버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해서 사용해야한다.

특징:

  • 애플리케이션을 마음대로 설치할 수 있지만 대응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도 있다.
  • 서버 관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ㅏ
  • 경우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Q. IaaS란 무엇인가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는 인프라만 제공한다. 즉, 네트워크나 서버 머신 등을 제공한다.

특징:

  • 사용하려면 세팅이 필요하다.
  • 서버 관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 경우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준비해야할 필요가 있다.

Q. EaaS란 무엇인가요?

EaaS(Everything as a Service)는 XaaS라고도 한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AWS는 EaaS이다.

서버와 인스턴스

Q. 서버란 무엇인가요?

server는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ex. 맥주를 제공하는 것은 맥주 서버이다. 웹 서버라면 웹 기능, 메일 서버라면 메일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Q. 서버용 OS란 무엇인가요?

OS(Operating System)란 컴퓨터를 움직이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와 OS위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서버용 OS는 유닉스(UNIX) 계열과 윈도 계열이 있고, 서버용 OS로 유명한 리눅스(Linux)와 BSD는 유닉스 계열이다.

 

Q. 인스턴스란 무엇인가요?

Amazon EC2에서 서버는 인스턴스로 생성된다.

인스턴스란 ‘실체’라는 의미이며 실제 가동되고 있는 가상화 컴퓨터를 말한다.

EX. 서버라고 하면 실체를 말하는 것인지, 물리적인 서버 자체를 말하는 것인지 애매하지만 인스턴스라고 하면 서버로 가동되고 있는 가상 서버(물리 서버 머신에 해당하는 컴퓨트)를 말한다.

AWS에서는 서버가 인스턴스로 생성된다.

 

Q. LAN란 무엇인가요?

회사나 가정에서 PC나 서버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상호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은 LAN(Local Area Network)이라 한다. LAN에는 유선과 무선이 있다.

 

Q. IP주소란 무엇인가요?

인터넷상에서 서버나 네트워크, PC등 호스트를 구별하는 주소나 이름표와 같은 것이 IP주소이다.

웹 사이트를 볼 때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사용한다.

 

Q. 관리 콘솔이란 무엇인가요?

웹 브라우저에서 AWS를 관리하는 화면이다.

지역을 대표하는 리전 단위로 조작한다.

 

Q. EC2의 키페어란 무엇인가요?

인스턴스에 접속할 때 인증을 위해 사용하는 키이다.

 

Q. EC2의 AMI란 무엇인가요?

AMI(Amazaon Machine Image)란 가상 이미지를 말한다.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기준이 되는 금형과 같은 것이다. OS만 설치된 간단한 유형부터 소프트웨어도 설정된 유형까지 다양한 AMI가 있다.

 

Q. EC2의 EBS란 무엇인가요?

EBS(Elastic Block Store)란 AWS 클라우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이다. 인스턴스 스토리지로 사용한다.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소로 대표적인 스토리지는 HDD와 SSD이다.

 

Q. 스냅샷이란 무엇인가요?

스냅샷(snapshot)이란 어떤 시점의 서버 디스크 상태를 통째로 보존한 파일이나 폴더의 등의 집합이다.

 

Q. Amazon CloudFront란 무엇인가요?

고속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서비스이다. 웹 콘텐츠를 빠르게 전송한다. S3의 웹사이트 호스팅 기능으로 구축한 웹 서버와 조합하여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고속화는 웹 서버의 내용을 캐시하는 엣지 서버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Q. route53이란 무엇인가요?

  • Amazon Route 53 은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클라우드 Domain Name System (DNS) 웹 서비스이다.
  • Route 53는 도메인 구입부터 네임서버 등록까지 dns에 필요한 모든 기능이 있고, 추가로 모니터링 기능까지 제공한다.
  • 다른 도메인 등록 기관(가비아, 후이즈 등) 에 비해 가격이 비슷하거나 저렴하고, 등록 외에 부가적인 기능 제공 및 안정성, GUI를 제공해 관리가 수월하다.
  • 또한, Route 53 은 사용자의 요청을 Amazon EC2 인스턴스, Elastic Load Balancing 로드 밸런서, Amazon S3 버킷 등 AWS 에서 실행되는 인프라에 효과적으로 연결하고, AWS 외부의 인프라로 라우팅하는데도 Route 53 사용이 가능하다.

Q.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란 무엇인가요?

IAM은 AWS의 리소스 접근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주로 인증과 접근 허가 기능을 구현한다.

 

Q. Amazon VPC란 무엇인가요?

AWS가 제공하는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와 서브넷 범위,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등 가상 네트워킹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Q. 도메인이란 무엇인가요

도메인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영문, 한글 등)로 만든 인터넷 주소입니다.

Q. http와 https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 HTTPS는 암호화 및 인증이 있는 HTTP입니다.
  • 두 프로토콜의 유일한 차이점은 HTTPS는 TLS(SSL)를 사용하여 일반 HTTP 요청과 응답을 암호화하고 해당 요청과 응답에 디지털 서명을 한다는 점입니다.
  • 그 결과로 HTTPS는 HTTP보다 훨씬 더 안전합니다.
    • HTTP를 사용하는 웹 사이트의 URL은 http://,
    • HTTPS를 사용하는 웹 사이트는 https://입니다.

이렇듯 개념적으로라도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알고 있으면 추후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은 마음에 정리를 해봤습니다. 도움이 되길 바라며.

 

 

728x90
반응형
LIST